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19

[CS] HTTP 통신을 알아보자 Feat.HTTPS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란? 인터넷에서 데이터를 주고받는 데 사용되는 프로토콜 중 하나입니다. 웹 브라우저와 웹 서버 간에 정보를 주고받을 때 주로 사용됩니다. HTTP는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에 데이터를 주고받기 위한 프로토콜로, 특히 웹 브라우저와 웹 서버 간의 통신에 가장 많이 사용됩니다. HTTP는 일반적으로 TCP/IP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동작하며, 주로 포트 80번을 사용합니다. 다른 프로토콜의 종류 각각의 특정 용도에 최적화되어 있습니다. 네트워크 통신을 할 때 어떤 프로토콜을 사용해야 하는지는 상황과 목적에 따라 달라집니다. HTTPS (HTTP Secure): HTTPS는 HTTP 프로토콜을 보안 소켓 계층(SSL/TLS)을 사용하여 암호화하는 방식입니.. 2023. 8. 3.
[JS] let 과 const 차이점 with. var 키워드의 문제점 let과 const의 차이점 let과 const는 자바스크립트 진영에서 변수를 선언하는 데 사용되는 키워드입니다. 하지만, 이 둘 사이에는 중요한 차이점이 있습니다. 변수 재할당 가능 여부 let과 const의 가장 큰 차이점은 변수의 재할당 가능 여부입니다. let let으로 선언된 변수는 값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변수가 언제든 변할 수 있는 가변적인 값일 경우에 유용합니다. const const로 선언된 변수는 재할당이 불가능합니다. 한 번 값이 할당되면 변경할 수 없습니다. 이는 상수 값이나 불변적인 값일 경우 유용합니다. 예제 let x = 5; x = 10; // 가능, x는 5에서 10으로 재할당됨 const y = 20; y = 30; // 에러: const로 선언한 변수는 재할당 불가능 .. 2023. 8. 2.
[Spring] 스프링 제어의 역전(IoC) 와 의존성 주입(DI) 완벽 이해하기 Feat.빈(Bean) 제어의 역전(IoC)과 의존성 주입(DI)에 대해서 알아보기 전에 한 번쯤은 들었지만 무엇인지 자세하게 모르는 빈(Bean)이라는 설명드리고 시작하겠습니다. 빈(Bean) 스프링 프레임워크는 스프링 규약에 의해 스프링 컨테이너가 관리하는 객체를 빈(Bean)이라고 지칭합니다. 빈은 스프링 컨테이너에 의하여 생성되고, 구성되고, 관리되는 객체를 말합니다. 빈을 선언하기 위해서는 스프링 컨테이너 설정파일(XML 또는 Java Config)에서 빈을 정의하거나 어노테이션을 사용하여 빈으로 등록할 수 있습니다. 스프링 컨테이너는 이러한 빈들을 생성하고, 필요에 따라 의존성을 주입하여 관리합니다. 스프링 빈은 일반적으로 싱글톤(Singleton)으로 생성되어 기본적으로 애플리케이션 전체에서 하나의 인스턴스가 공유.. 2023. 8. 1.
스프링의 인터셉터(Interceptor)와 필터(Filter) 완벽 이해하기 이번 포스팅은 스프링 프레임워크에서 중요한 기능 중 하나인 인터셉터(Intercepter)와 필터 (Filter)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필터와 인터셉터 이 두 가지는 비슷하면서도 전혀 다른 역할을 하는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처리하는 과정에서 특정 작업을 수행하고자 할 때 사용되는 강력한 도구들입니다. 필터(Filter)의 역할과 특징? 필터는 스프링 프레임워크에서 요청(Request)과 응답(Response)을 가로채버린 후, 특정 작업을 처리하는 컴포넌트입니다. 필터(Filter)는 디스패처 서블릿(Dispatacher Servlet)에 요청이 전달되기 전 / 후에 url 패턴에 맞는 모든 요청에 대하여 전역적인 작업을 처리하는 데 사용합니다. 여기서 디스패처 서블릿은 스프링 컨테이너(Spring C.. 2023. 7. 31.